[앵커] 한국은행이 오늘(10일) 기
본문
[앵커] 한국은행이 오늘(10일) 기준금리를 기존 2.
한국경제 저성장에도 불구하고 폭증하는가계부채부담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사진=이날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의 모습.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말 기준 명목 GDP.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무섭게 불어난가계부채가 결국 금리인하 기조를 막아 세웠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0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연 2.
50%로 동결한 배경에는 부동산 폭등과가계빚 폭탄에 대한 우려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서는 결국 주택시장과가계부채진정 여부와 함께 미국과 관세 협상과 결과에 따라 향후 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한다.
한은 총재 "집값 과열 진정.
저성장 우려에도 부동산 시장과가계부채급등세에 '숨 고르기'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
한국은행이 10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 금리를 연 2.
이창용 한은 총재는 주택 가격 상승,가계부채증가 등을 금리 동결 배경으로 지목했다.
8%에 불과해 금리를 내려 경기 부양을 하는 게 시급하지만 급증.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최근 서울 및 수도권 집값이 급등하고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5월에 이어 연속으로 금리를 내리기보다는 동결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작년 8월보다 빠른 것 같다”며 “해피엔딩이 금방 올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집값에 따라 들썩이는가계부채문제에 대해선 “소비와 성장을 제약하는 임계 수준에 와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부동산 과열 우려 등.
이번 금통위에선 올해 0%대 저성장 우려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 완화보다 최근 부각된가계부채급증 경계감을 줄이는 데 무게가 실렸다.
한은은 이달 숨 고르기를 통해 금리를 유지한 채 6·27가계대출 관리 강화방안의 효과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정부의 최근가계부채관리 대책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정책.